본문 바로가기

법륜스님의 희망이야기

(1073)
[법륜스님의 하루] 상카시아 평화담마행진 상카시아 평화담마행진 모습 인도 상카시아에서 법륜스님과 석가족들이 함께 흥겨운 평화담마행진을 진행했습니다.
[법륜스님의 하루] 평화를 위해 걷다 2016.10.16 상카시아 석가족 평화 담마 행진 행복한 하루 보내고 계신가요?드디어 부처님이 도리천에 가셔서 어머니를 교화하고 하늘에서 상카시아로 내려오신 날 아침이 밝았습니다. 인도 석가족들은 이 날을 기념해 매년 10만 명이 모인 가운데 상카시아 스투파 앞에서 ‘평화 담마 행진’을 합니다.어제밤 석가족들을 위해 오늘 행사의 의미에 대한 스님의 법문이 있었는데요. 오늘 하늘에서 내려온 부처님을 친견하려면 붓다 담마를 알아야 한다고 했죠. 석가족들은 오늘 아침에 모두들 부처님을 친견했는지 모르겠네요. 흥겨운 평화 행진▲ 아침 7시 30분, 스님이 행진 차량에 올라 리본 컷팅을 한 후 불교기를 크게 흔들자 드디어 ‘평화 담마 행진’이 시작되었습니다. 석가족은 열렬히 환호했고, 행진의 선두에 선 악기 연..
법륜 스님과 석가족 청년의 인연 [법문] 2016.10.16 상카시아 석가족 평화 담마 행진 행복한 하루 보내고 계신가요? 드디어 부처님이 도리천에 가셔서 어머니를 교화하고 하늘에서 상카시아로 내려오신 날 아침이 밝았습니다. 인도 석가족들은 이 날을 기념해 매년 10만 명이 모인 가운데 상카시아 스투파 앞에서 ‘평화 담마 행진’을 하는데요. 스님은 ‘평화 담마 행진’에 주빈으로 참석해 함께 행진을 한 후 모든 불자는 불, 법, 승 삼보에 귀의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인도 불자들을 위해 격려를 했습니다. # 힌두교 나라에 불자가 왜 자꾸 생길까요? 법문이 끝나자마자 곧이어 상카시아 지역 방송과 언론들이 한꺼번에 몰려들어 스님에게 인터뷰를 요청했습니다. 인터뷰의 주 내용은 힌두교 국가인 인도에서 불교 인구가 점점 늘어나는 것에 대한 우려와 ..
[법륜스님의 희망편지] 열등감과 우월감 열등감과 우월감은 모두 삶의 기준을 타인에 두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내 삶을 내가 산다는 주인의식 없이, 남과 비교하기 때문에 생겨나는 심리적 현상이에요. 이 세상에는 열등한 존재도 우월한 존재도 없습니다. 존재는 서로 다를 뿐입니다. 발이 하나 없는 것은 다만 불편할 뿐이라는 생각을 하면 의족을 해서 편리하게 극복하면 됩니다. ‘나는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니고 도대체 뭔가?‘ 라는 자괴감이 들 때 ‘나는 이것도 되고 저것도 된다’ 고 생각해보세요. 주어진 상황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열등감과 우월감을 넘어 자기 삶을 당당하게 살 수 있는 길이자 행복으로 가는 첫걸음입니다. ------------------------- >지금 이순간 행복해 지는길 법륜스님과 함께하는 영상강좌 행복학교 20..
“빚 갚으러 왔습니다.” 법륜스님과 석가족의 만남 2016.10.15 상카시아 석가족 법회 행복한 하루 보내고 계신가요? 오늘 스님은 상카시아(Sankasia)에서 ‘마하프러와라 디워스’ 행사에 참석해 석가족 수 만 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 법문을 했습니다. * 마하프러와라 디워스 : 부처님이 어머니를 교화하고 하늘에서 내려오신 날* 석가족 : 싯다르타(부처님)께서 태어나신 종족 행사가 열린 곳은 상카시아 스투파가 있는 곳 주위에 위치한 너른 마당입니다. 주최 측 추산으로는 10만 명 가량이 모인 것 같다고 합니다. 인산인해를 이룬 마당에서 가운데로 터놓은 통로를 따라 스님이 들어서자 석가족은 큰 박수와 환호로 스님을 환영했습니다. 스님의 소개가 끝나고 스님에게 법을 청하자 스님은 환한 웃음으로 인사를 건네며 법문을 시작했습니다. 통역은 수자타아카데미 ..
[법륜스님의 하루] 지금 만나러 갑니다 _ 10만 석가족 2016.10.15 상카시아 석가족 법회 오늘 스님은 상카시아(Sankasia)에서 ‘마하프러와라 디워스’ 행사에 참석해 석가족 수 만 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 법문을 했습니다. * 마하프러와라 디워스 : 부처님이 어머니를 교화하고 하늘에서 내려오신 날* 석가족 : 싯다르타(부처님)께서 태어나신 종족 이번 달 보름날은 부처님이 어머니를 위해서 도리천궁에 가셨다가 지상으로 하강한 날입니다. 기록에 따르면 부처님은 상카시아로 하강을 했습니다. 그래서 매년 이 날은 인도의 석가족이 상카시아에 10만 명 정도가 모입니다. 스님은 이 행사에 주빈으로 초청을 받아서 ‘석가족과 불교’를 주제로 법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어제까지 암베르카르 개종 60주년 기념 컨퍼런스에 참석했던 스님은 새벽 6시에 컨퍼런스가 열린 나그..
[법륜스님의 희망편지] 인생수업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여러 장애와 역경을 이겨내는 것은 인생 공부하는 것과 같습니다. 역경에 부딪쳐서 이겨내는 힘을 키우면 앞으로 어떤 일이든 해낼 수 있지 온실 속 화초처럼 아무 일도 없기만 바라면 인생 공부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사는 동안 나쁜 일이 자꾸 생기면, 어차피 받아야 할 일이 닥쳐왔구나! 생각하세요.​ 어차피 닥칠 일이라면 빨리 받는 것이 좋고 어차피 갚을 빚이라면 빨리 갚는 게 좋습니다. 미루어 놓았다 나중에 갚을 이유가 없습니다. 이런 마음으로 살아가면 이 세상에 어떤 일이 일어나도 두려울 것이 없습니다. ​
“스님은 왜 사회 실천 활동을 중요시하게 되었나요?” 2016.10.14 닥터 암베르카르 불교 전향 60주년 기념 컨퍼런스 2일째 행복한 하루 보내고 계신가요?오늘 스님은 닥터 암베르카르 불교 전향 60주년을 기념해 나가로카(Nagaloka)에서 열린 컨퍼런스 2일째를 맞이해 전 세계의 불교지도자들과 ‘Social Engagement & Liberation’을 주제로 발표하고 토론했습니다. 아침 9시에 시작된 컨퍼런스는 총 6명이 발표자로 나왔습니다. 영국에서 온 담마차리 수부티(Dhammachari Subhuti), 인도에서 온 망게쉬 다이왈리(Mangesh Dahiwale), 미얀마에서 온 사이 삼 캄(Sai Sam Kham), 스리랑카에서 온 만주수리 스님(Ven. Manjushri), 말레이시아에서 온 다타 앙 추 홍(Data Ang Choo H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