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 없이 자꾸 몸이 아플 때가 있죠. 몸이 아플 때, 특히 그것이 정신적인 부분과 연관이 깊을 때는 어떻게 마음을 가져야 할까요? 법륜 스님의 답변입니다.
- 질문자 : “출산 후 몸이 몇 해 동안 많이 아프고 안 좋았습니다. 때때로 컨디션이 안 좋거나 아플 때는 불안하고 두려운 마음도 듭니다. 자꾸 몸에 집착하는 생각을 놓고 싶은데 그게 잘 안 됩니다.”
- 법륜 스님 : “원인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정말 몸이 안 좋은 경우입니다. 정말 몸이 안 좋을 때는 쉬어야 합니다. 그러니까 병원에 가서 양의한테 검사를 해 보고 별 이상이 없다면 한의사한테 가서 진맥을 해 봐야 합니다. 이렇게 늘 몸이 안 좋은 경우는 몸 기능 자체보다는 우리가 말하는 카르마, 즉 업식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업병이라고 합니다. 업병인 경우에는 양방 병원에 가서 아무리 검진을 해도 이상이 없다고 하고, 한방에 가서 진맥을 해서 약을 몇 재 먹어도 별 효험이 없습니다. 그러면 이제 수행을 해야 합니다.
무의식 가운데 매사에 싫어하는 마음이 딱 도사리고 있어서 ‘뭐가 싫다’하는 생각이 자꾸 일어납니다. 어릴 때부터 형성되었거나 부모로부터 물려받았거나 또는 자라면서 밴 습관 때문에 그렇습니다. 이런 경우에 빨리 치료하려면, 정토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깨달음의 장’에 갔다 오는 게 좋아요. 수련을 통해 우선 거친 마음의 상처를 단기적으로 치료할 수가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아침 5시에 기도한다고 하면서 실제로는 제대로 안 하잖아요? 늘 무슨 핑계거리가 생깁니다. 이것을 ‘자기가 자기를 속인다’고 합니다. 이럴 때 핑계를 만드는 그 무의식의 작용을 용납하지 않는 것이 대결정심입니다. ‘죽어도 좋다’고 각오하는 것입니다. 하기로 했으면 그냥 일어나 해버리는 거예요. 각오하고 결심하면 100% 됩니다. 각오하고 마음을 쓰면 스스로 지쳐 피곤해집니다. 의식은 무의식을 이길 수가 없어요. 그래서 작심삼일이라는 말이 생겨난 것입니다. 그러니까 조금의 이유도 붙이지 말고 그냥 해야 합니다.
‘깨달음의 장’에 갔다 왔는데도 이 카르마가 또 원래대로 돌아간 것 같다 생각되면 이제 자기 마음의 미세한 카르마를 아는 게 필요합니다. 그래서 ‘나눔의 장’에 가서 또 공부를 해야 하고 그 다음엔 명상수련에 참가해야 합니다. 우리가 수행을 할 때 한 고개 넘어가면 다 넘어온 것 같은데 또 그 위에 더 큰 고개가 있고, 또 넘어가면 다 된 것 같은데 또 있고 그래요. 그게 양파껍질처럼 우리들의 업이 겹겹이 쌓여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러니 수행도 지루하게 생각하거나 어렵게 생각하면 안 됩니다.
꾸준히 가면 언젠가 목적지에 도달할 거라고 믿으면서, 출발점에서부터 여기까지 온 자신을 보면서 낙관적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목적지를 보고는 ‘이제까지 왔는데도 아직도 까마득하네, 아이고 안 되겠다’며 좌절해서 주저앉거나 ‘이 정도면 됐지.’ 이렇게 안주해서도 안 됩니다.
나날이 변해가는 자기를 보면서 기쁨을 가지고 낙관적이 되어야 하고, 아직도 해탈열반에 이르지 못한 자기를 보면서 더 부지런히 정진해야 되겠다고 마음먹어야 합니다. 그러니 공부를 하겠다고 마음먹었으면 절에서 삼천 배나 만 배 정진이 있을 때, 가서 해버려야 합니다. 아침에 백팔 배를 하기 싫으면 삼백 배를 해버려서 자기에게 일어나는, 하기 싫은 마음을 확 건너가 버려야 합니다. 그런 것을 몇 번 하면 마음에 아무 장애가 없어집니다. 그냥 ‘싹’ 해버려야 합니다.“
법륜 스님이 강의하는 정토불교대학이 국내 88개 지역과 미국, 유럽, 아시아 등 해외 28개 지역에서 개강합니다. 법륜 스님이 안내하는 마음공부! 불교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 가슴으로 다가오는 쉽고 명쾌한 강의! 내 삶을 변화시키는 법륜 스님의 명강의를 지금 만나보세요. (신청마감 : 2014년 8월 24일)

법륜 스님의 즉문즉설이 책으로 엮어져 나왔습니다. 읽으면 읽을수록 삶이 조금씩 행복해짐을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 만나보세요.
'즉문즉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일인데 남편은 전화 한통 없고 섭섭해요” (27) | 2014.08.06 |
---|---|
“하루하루가 무의미해요” 법륜 스님의 답변 (18) | 2014.08.04 |
어머니의 근심걱정과 잔소리에 화가 납니다 (4) | 2014.07.08 |
정리정돈 하지않는 가족들이 짜증나요, 어떡하죠? (0) | 2014.07.07 |
“남편 없이 애 키우기 힘들어요” 법륜 스님의 답변 (33) | 2014.07.04 |